한국여성단체협의회(회장 허명)가 리얼미터에 의뢰한 ‘서울시 출산·육아 관련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 10명 중 7명 이상은 여성에게 출산은 부담스러운 일이라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4월 25일부터 5월 6일까지 20대~40대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여성에게 있어 출산이 갖는 의미에 대해 조사한 결과, ‘부담스러운 일이다’는 의견과 ‘행복한 일이다’는 입장 중 ‘부담스러운 일이다’는 의견에 가까운 응답자의 비율이 75.8%였고, ‘중간’은 15.9%, ‘행복한 일이다’에 가까운 응답은 8.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저연령일수록 ‘부담스러운 일이다’는 응답이 높아 20대 84.1%, 30대 80.1%, 40대에서는 65.5%로 집계됐다.
‘여성은 출산 후 국가나 사회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라는 의견에 가까운 응답자의 비율은 52.6%였고, ‘도움을 받는다’는 응답은 21.7%로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저연령일수록 ‘도움을 받지 못한다’는 인식의 비율이 높아져 20대 응답자 중에서는 59.1%였고, 30대는 53.9%, 40대는 47.2%로 조사됐다.
출산·양육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을 조사(복수응답)한 결과 ‘육체적 곤란(피로, 수면부족 등)’이라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68.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력단절’ 67.4%, ‘교육비용’ 66.2%, ‘돌봄비용’ 61.2%, ‘돌봄문제’ 58.8%, ‘주거비용’ 53.5%, ‘심리·정서적 문제’ 46.3%, ‘의료문제’ 37.0%로 집계됐다.
특히, 여성은 ‘육체적 곤란(74.0%)’, ‘경력단절(75.6%)’, ‘돌봄문제(62.7%)’, ‘심리·정서적 문제(52.7%)’에서 남성보다 더 많은 곤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20대의 경우 ‘경력단절(84.1%)’이나 ‘주거비용(64.9%)’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시행했으면 하는 저출생 정책(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임신, 출산 관련 지원정책 강화’라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61.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아버지 육아휴직제도 강화’가 60.6%, ‘직장 내 보육시설 확대’ 54.2%, ‘돌봄지원 인력 제공 서비스(가사도우미, 베이비시터 등) 확대’ 53.4%, ‘어린이집 유치원 등 보육시설 확대’ 45.3%, ‘초등학교 돌봄과 종일반 확대’ 44.4%, ‘아동 전문 응급의료센터 확충’ 40.2%의 순으로 집계됐다. ‘난임 치료비 지원 확대’와 ‘자녀 동반 대중교통, 공공시설 비용 할인/우대’는 각 31.7%, 31.3%였으며, ‘산부인과 확충’이라고 답한 비율은 19.3%였다.
서울시의 저출생 정책에 어디서 알게 되었냐는 질문에는 ‘TV방송’이 40.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NS’ 27.1%, ‘공공기관’ 19.5%, ‘지인’ 11.4%, ‘기타’ 1.7%의 순서로 조사됐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는 이번 조사와 지난 5월 22일 실시한 출산·양육 행복문화 확산 간담회를 바탕으로 6월 19일 국회에서 출산·양육 정책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회장 허명)가 리얼미터에 의뢰한 ‘서울시 출산·육아 관련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 10명 중 7명 이상은 여성에게 출산은 부담스러운 일이라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4월 25일부터 5월 6일까지 20대~40대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여성에게 있어 출산이 갖는 의미에 대해 조사한 결과, ‘부담스러운 일이다’는 의견과 ‘행복한 일이다’는 입장 중 ‘부담스러운 일이다’는 의견에 가까운 응답자의 비율이 75.8%였고, ‘중간’은 15.9%, ‘행복한 일이다’에 가까운 응답은 8.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저연령일수록 ‘부담스러운 일이다’는 응답이 높아 20대 84.1%, 30대 80.1%, 40대에서는 65.5%로 집계됐다.
‘여성은 출산 후 국가나 사회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라는 의견에 가까운 응답자의 비율은 52.6%였고, ‘도움을 받는다’는 응답은 21.7%로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저연령일수록 ‘도움을 받지 못한다’는 인식의 비율이 높아져 20대 응답자 중에서는 59.1%였고, 30대는 53.9%, 40대는 47.2%로 조사됐다.
출산·양육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을 조사(복수응답)한 결과 ‘육체적 곤란(피로, 수면부족 등)’이라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68.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력단절’ 67.4%, ‘교육비용’ 66.2%, ‘돌봄비용’ 61.2%, ‘돌봄문제’ 58.8%, ‘주거비용’ 53.5%, ‘심리·정서적 문제’ 46.3%, ‘의료문제’ 37.0%로 집계됐다.
특히, 여성은 ‘육체적 곤란(74.0%)’, ‘경력단절(75.6%)’, ‘돌봄문제(62.7%)’, ‘심리·정서적 문제(52.7%)’에서 남성보다 더 많은 곤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20대의 경우 ‘경력단절(84.1%)’이나 ‘주거비용(64.9%)’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시행했으면 하는 저출생 정책(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임신, 출산 관련 지원정책 강화’라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61.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아버지 육아휴직제도 강화’가 60.6%, ‘직장 내 보육시설 확대’ 54.2%, ‘돌봄지원 인력 제공 서비스(가사도우미, 베이비시터 등) 확대’ 53.4%, ‘어린이집 유치원 등 보육시설 확대’ 45.3%, ‘초등학교 돌봄과 종일반 확대’ 44.4%, ‘아동 전문 응급의료센터 확충’ 40.2%의 순으로 집계됐다. ‘난임 치료비 지원 확대’와 ‘자녀 동반 대중교통, 공공시설 비용 할인/우대’는 각 31.7%, 31.3%였으며, ‘산부인과 확충’이라고 답한 비율은 19.3%였다.
서울시의 저출생 정책에 어디서 알게 되었냐는 질문에는 ‘TV방송’이 40.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NS’ 27.1%, ‘공공기관’ 19.5%, ‘지인’ 11.4%, ‘기타’ 1.7%의 순서로 조사됐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는 이번 조사와 지난 5월 22일 실시한 출산·양육 행복문화 확산 간담회를 바탕으로 6월 19일 국회에서 출산·양육 정책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